맨위로가기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00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하여 1932년 프로화된 우루과이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다. 1994년부터 전·후기 리그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2017년에는 토르네오 아페르투라, 토르네오 인터메디오, 토르네오 클라우수라의 3단계 리그전으로 변경되었다. 페냐롤과 나시오날이 리그 역사를 양분하며, 2024년에는 16개 팀이 참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0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프리메라 C 메트로폴리타나
    프리메라 C 메트로폴리타나는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시스템의 4부 리그로, 1900년 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시작하여 리그 수준과 명칭 변경을 거쳐 1986년부터 현재 체제로 운영되며,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로 나뉘어 시즌 종료 후 우승팀은 승격, 최하위 팀은 강등된다.
  • 우루과이의 축구 리그 - 우루과이 세군다 디비시온
    우루과이 세군다 디비시온은 1903년에 시작되어 여러 명칭 변경을 거쳐 1983년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 중인 우루과이 축구 리그 시스템의 2부 리그로, 우승팀은 다음 시즌에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하며 개막 및 폐막 토너먼트로 진행되고 10개에서 14개 클럽이 참가한다.
  • 우루과이의 축구 리그 -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페메니노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페메니노는 우루과이 여자 축구 리그로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리그로 진행되며, 우승팀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에 진출하고, 디비시오날 A와 B 간 승강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나시오날이 12회, 람블라 호히스가 10회, 페냐롤이 3회 우승했고 2023년에는 페냐롤이 우승했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1부 리그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891년에 시작되어 잉글랜드 풋볼 리그 다음으로 오래된 축구 리그이며,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FA)가 주관하고, 리버 플레이트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1부 리그 - 파라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파라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06년 창설되어 1935년 프로 리그로 전환된 파라과이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2개 팀이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두 개의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 국제 대회 출전권, 강등을 놓고 경쟁하며 올림피아와 세로 포르테뇨가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기본 정보
이름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원어 이름Primera División de Uruguay
로마자 표기Urugwayi Peurimera Dibision
별칭캄페오나토 우루과요, Torneo Uruguayo Copa Coca-Cola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로고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로고
대륙CONMEBOL
창립1900년
참가 팀 수16
리그 등급1
강등 리그세군다 디비시온
국내 컵코파 AUF 우루과이
수페르코파 우루과야
대륙 컵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수다메리카나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현재 시즌2024년
통계
최다 우승 팀페냐롤 / CURCC (52회)
최다 득점자페르난도 모레나 (230골)
최근 우승
우승 팀페냐롤 (52번째 우승)
시즌2024년
미디어
TVTenfield, Gol TV, Arena Sport

2. 역사 및 리그 진행 방식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00년 아마추어 리그로 출발하여 1932년 프로 리그로 전환된, 세계적으로 오랜 역사를 가진 축구 리그이다. 초창기인 1923년부터 1925년까지는 공식 협회인 '''우루과이 축구 협회(AUF)'''와 별개로 '''우루과이 축구 연맹(FUF)'''이 운영되는 등 분열을 겪기도 했으나, 이후 AUF 중심으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FUF 시절의 기록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리그 역사를 통틀어 나시오날과 페냐롤 두 클럽이 압도적인 우승 기록을 보유하며 강력한 양강 체제를 구축해왔다. 1932년 프로화 이후 1976년 데펜소르가 우승하기 전까지 40년 넘게 두 팀만이 우승컵을 독식했을 정도이다. 1980년대 이후로는 데펜소르와 다누비오 같은 클럽들이 우승 경쟁에 가세하며 리그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리그 운영 방식은 시대에 따라 변화를 거듭했다. 1994년부터는 시즌을 전기 리그인 Torneo Apertura|토르네오 아페르투라es와 후기 리그인 Torneo Clausura|토르네오 클라우수라es로 나누어 진행하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시스템을 도입했다. 2005년에는 유럽 축구 시즌에 맞춰 가을에 시작해 이듬해 여름에 마치는 연년제 방식을 시도했으나, 선수 유출 문제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팀 조기 결정에 따른 전력 유지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2017년부터 다시 1년 단위(1월~12월) 리그 운영으로 복귀했다. 현재는 아페르투라(전기), 인터메디오(중기), 클라우수라(후기)의 3단계 리그를 치른 후, 각 단계 성적과 연간 통합 순위를 바탕으로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챔피언을 결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한편, 클럽들의 재정 상황을 고려하여 2006-07 시즌부터 리그 참가팀 수는 16개로 조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2. 1. 역사

1900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되었으며, 1932년에 프로 리그로 전환되었다. 리그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1923년부터 1925년까지 이어진 우루과이 축구계의 분열이다. 이 시기에는 공식적인 '''우루과이 축구 협회(AUF)''' 외에 반체제 리그인 '''우루과이 축구 연맹(FUF)'''이 설립되어 별도의 대회가 운영되었다. 결국 우루과이 정부의 개입으로 FUF는 해산되었고 AUF에 흡수되었다. 이 과정에서 두 조직을 통합하기 위해 1926년 임시 위원회("Concejo Provisorio")가 주관한 선수권 대회가 열렸으며, 페냐롤이 이 대회(세리에 A)에서 우승했다. 그러나 AUF나 FIFA는 FUF 또는 임시 위원회가 주관한 대회의 기록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리그 역사상 나시오날과 페냐롤 두 클럽의 영향력은 압도적이다. 1930년부터 1975년까지 무려 45년간 이 두 팀만이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 양강 구도는 1976년 데펜소르가 첫 우승을 차지하면서 깨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시오날과 페냐롤 외의 클럽이 연속으로 우승한 사례는 없다. 최다 연속 우승 기록은 페냐롤(1958년~1962년, 1993년~1997년)과 나시오날(1939년~1943년)이 보유한 5회 연속 우승이다. 두 강팀이 모두 우승하지 못한 가장 긴 기간은 1987년부터 1991년까지로, 이 5년 동안 데펜소르, 다누비오, 프로그레소, 벨라 비스타, 그리고 다시 데펜소르가 차례로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1980년대 이후로는 데펜소르와 다누비오가 상위권에 진출하는 빈도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리그 운영 방식에도 여러 변화가 있었다. 1994년부터는 시즌을 전기 리그(아페르투라)와 후기 리그(클라우수라)로 나누어 진행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초기에는 각 리그 우승팀이 시즌 종료 후 챔피언 결정전을 치러 최종 우승팀을 가렸다. 2005년에는 리그 일정을 유럽 축구 시즌에 맞춰 8월에 시작하여 다음 해 여름에 마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이는 시즌 중 선수들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이 변경에 따라 2005년 상반기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06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한 특별 단축 시즌(Torneo Uruguay Especial)이 열렸다. 2005-06 시즌부터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우승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그 승자가 시즌 전체 통합 승점 1위 팀과 최종 챔피언 결정전을 갖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유럽식 시즌 운영에도 불구하고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사이의 공백기에 선수 유출 문제는 여전했고, 다음 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팀이 너무 일찍 결정되어 전력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도 발생했다. 결국 2016년 후반기에 짧은 특별 시즌을 치른 뒤, 2017년 시즌부터 다시 1월에 시작하여 12월에 끝나는 기존의 달력 연도 방식으로 복귀했다. 2017년 이후로는 토르네오 아페르투라(전기), 토르네오 인터메디오(중기), 토르네오 클라우수라(후기)의 3단계 리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재정 문제로 인해 리그 참가팀 수에도 변화가 있었다. 2006-07 시즌부터는 참가팀 수를 기존 18개에서 16개로 줄여 운영하고 있다.

1900년 리그 출범 이후 총 60개 팀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참가했다. 나시오날이 가장 많은 시즌을 참가했으며, 그 뒤를 페냐롤(CURCC 시절 포함)이 잇고 있다. 이 두 팀은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단 한 번도 강등된 적이 없는 유이한 팀이기도 하다. 소위 '마이너' 팀 중에서는 몬테비데오 원더러스가 가장 많은 시즌을 참가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2. 2. 리그 진행 방식

1994년부터 리그는 전기 리그인 Torneo Apertura|토르네오 아페르투라es와 후기 리그인 Torneo Clausura|토르네오 클라우수라es로 나누어 진행하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방식을 도입했다. 2004년까지는 각 리그 1위 팀이 시즌 종료 후 챔피언 결정전을 치러 최종 우승 팀을 가렸다.

2005년, 우루과이 리그는 시즌 중 선수 유출을 막기 위해 남아메리카의 일반적인 달력 연도 기준(1월~12월) 대신, 북반구의 시즌 일정에 맞춰 8월에 시작하여 다음 해에 끝나는 '유럽식 시즌'(연년제) 운영을 시도했다. 이 변화에 따라 2005년 전반기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06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한 특별 단축 시즌(Torneo Uruguay Especial|토르네오 우루과이 에스페시알es)이 임시로 열렸다. 유럽식 시즌이 처음 적용된 2005-06 시즌부터는 챔피언 결정 방식도 변경되었다. 아페르투라 우승팀과 클라우수라 우승팀이 먼저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이 플레이오프의 승자가 시즌 전체 통합 승점 1위 팀과 최종 챔피언 결정전을 갖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한편, 당시 우루과이 경제 사정에 따른 클럽들의 재정 악화 문제로 인해 2006-07 시즌부터는 리그 참가팀 수를 기존 18개에서 16개로 줄여 운영하게 되었다.

그러나 유럽식 시즌 운영 방식은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사이의 긴 휴식기 동안 해외 리그로의 선수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했고, 다음 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팀이 너무 일찍 결정되어 시즌 후반기까지 팀 전력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결국 2008-09 시즌을 마지막으로 유럽식 연년제 리그 운영은 중단하기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2009년 하반기에는 코파 수다메리카나 2010과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10 출전팀을 가리기 위한 특별 리그가 다시 열렸다. 이후 본래의 달력 연도(1월~12월) 기준으로 리그를 운영하는 방식으로 돌아가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실제 전환은 몇 년간 미뤄졌다. 2015-16 시즌이 종료된 후, 2016년 후반기에 방식 전환을 위한 짧은 특별 시즌이 진행되었고, 마침내 2017 시즌부터 다시 달력 연도 방식의 리그 운영이 완전히 정착되었다.

2017 시즌부터 현재까지 리그는 세 단계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전기 리그인 토르네오 아페르투라(Torneo Aperturaes), 중기 리그인 토르네오 인터메디오(Torneo Intermedioes), 후기 리그인 토르네오 클라우수라(Torneo Clausuraes)로 나누어 진행한다.

  • 토르네오 아페르투라토르네오 클라우수라: 16개 참가팀이 각각 한 번씩 모든 팀과 맞붙는 방식(팀당 15경기)으로 진행된다.
  • 토르네오 인터메디오: 16개 팀을 2개 조(Serie A, Serie B)로 나누어, 같은 조에 속한 팀끼리 한 번씩 맞붙는 방식(팀당 7경기)으로 진행된다. 각 조 1위 팀은 인터메디오 결승전을 치러 중기 리그 우승팀을 결정한다.


한 시즌 동안 각 팀은 아페르투라 15경기, 인터메디오 7경기, 클라우수라 15경기를 합쳐 총 37경기를 치르게 되며, 이 경기들의 결과를 모두 합산하여 연간 순위표(Tabla Anual|타블라 아누알es)를 작성한다. 이 연간 순위표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코파 수다메리카나 진출팀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연간 순위 상위 4개 팀은 다음 시즌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권을 획득하고, 다음 순위 4개 팀(5위~8위)은 코파 수다메리카나 출전권을 얻는다.

리그 최종 챔피언은 시즌 종료 후 열리는 우승 결정 플레이오프를 통해 가려진다.

1. 준결승: 토르네오 아페르투라 우승팀과 토르네오 클라우수라 우승팀이 단판 승부를 벌인다. (만약 한 팀이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를 모두 우승했다면, 준결승은 열리지 않는다.)

2. 결승: 준결승 승자가 연간 순위표 1위 팀과 최종 챔피언 자리를 놓고 격돌한다. (만약 준결승 승자가 연간 순위표 1위 팀과 동일하다면, 결승은 열리지 않고 해당 팀이 최종 챔피언이 된다. 또한,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를 모두 우승한 팀이 연간 순위표 1위까지 차지했다면, 플레이오프 없이 해당 팀이 최종 챔피언으로 결정된다.)

리그 챔피언은 다음 해 시즌 시작 전에 열리는 수페르코파 우루과야(우루과이 슈퍼컵)에서 토르네오 인터메디오 우승팀과 맞붙게 된다.

3. 리그의 특징


  • 우루과이를 대표하는 두 개의 빅 클럽, 페냐롤과 나시오날이 역대 우승컵을 양분해 왔다. 리그 역사를 통틀어 우승컵의 80% 가까이를 두 팀이 가져갔다.
  • 또한 2007/2008 시즌을 기준으로 16개의 참가팀 중 무려 14개 팀이 수도인 몬테비데오를 연고로 하고 있다.

4. 클럽 (2024/2024 시즌)

연간 성적

보스턴 리버 깃발
보스턴 리버1939년
몬테비데오 문장
몬테비데오유벤투 파르케 아르티가스5,124명13위
세로 깃발
세로1922년루이스 트로콜리25,000명11위
세로 라르고 깃발
세로 라르고2002년
세로 라르고 주 문장
멜로안토니오 우비야9,000명7위
다누비오 깃발
다누비오1932년하르디네스 델 이포드로모18,000명8위
데펜소르 스포르팅 깃발
데펜소르1913년루이스 프란시니16,000명3위
데포르티보 말도나도 깃발
데포르티보 말도나도1928년
말도나도 주 문장
말도나도도밍고 부르게뇨 미겔22,000명12위
페닉스 깃발
페닉스1916년파르케 카푸로10,000명15위
리버풀 깃발
리버풀1915년벨베데레10,000명1위
미라마르 미시오네스 깃발
미라마르 미시오네스1980년루이스 멘데스 피아나6,500명2부·1위
원더러스 깃발
원더러스1902년알프레도 빅토르 비에라11,000명5위
나시오날 깃발
나시오날1899년에스타디오 그란 파르케 센트랄34,000명4위
페냐롤 깃발
페냐롤1891년/1913년에스타디오 캄페온 델 시글로40,000명2위
리버 플레이트 깃발
리버 플레이트1932년에스타디오 사롤디5,624명9위
람플라 주니어스 깃발
람플라 주니어스1914년에스타디오 올림피코9,500명2부·6위
라싱 클럽 깃발
라싱 클럽1919년파르케 로베르토8,500명6위
프로그레소 깃발
프로그레소1917년아브라함 팔라디노8,000명2부·2위



페냐롤의 창단 연도에 대해서는 그 역사에서 견해가 다르다. 또한, 경기장은 클럽 팀이 홈 경기를 하는 경기장을 반영하지만, 그 클럽이 경기장을 소유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스턴 리버는 몬테비데오의 클럽이지만 2022년부터는 다른 클럽 소유의 라스 피에드라스에 있는 경기장을 사용하고 있다.

5. 역대 기록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00년에 처음 시작되었다. 리그 초창기인 1923년부터 1925년까지는 우루과이 축구계의 분열로 인해 공식 협회(AUF)와 별개로 반체제 리그인 우루과이 축구 연맹(Federación Uruguaya de Football, FUF)이 운영되기도 했다. 이후 우루과이 정부의 개입으로 FUF가 해산되고, 1926년에는 두 조직을 통합하기 위한 임시 위원회("Concejo Provisorio") 주관 대회가 열렸으나, AUF나 FIFA는 FUF 또는 임시 위원회가 주최한 대회의 기록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리그 역사 대부분은 나시오날페냐롤 두 클럽이 양분해왔으며, 특히 1930년부터 1975년까지는 이 두 팀만이 리그 우승을 독점했다. 이 양강 구도는 1976년 데펜소르 스포르팅이 우승하면서 처음으로 깨졌으나, 여전히 두 팀의 영향력은 막강하다. 페냐롤과 나시오날은 각각 5회 연속 우승이라는 최다 연속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리그 운영 방식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94년부터 시즌을 전기 리그인 토르네오 아페르투라(Torneo Apertura)와 후기 리그인 토르네오 클라우수라(Torneo Clausura)로 나누어 진행하는 방식을 도입했으며, 2017년부터는 중간 토너먼트인 토르네오 인터메디오(Torneo Intermedio)가 추가되었다. 시즌 운영 기간 역시 남반구 일정 기준에서 2005년부터 잠시 유럽 리그 일정 기준으로 변경되었다가 2017년부터 다시 원래 방식으로 복귀했다.

1900년 리그 출범 이후 총 60개 팀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참가했다. 나시오날페냐롤(CURCC 시절 포함)은 가장 많은 시즌을 참가했으며,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한 번도 강등된 적이 없는 유이한 클럽이다.

5. 1. 역대 우승 기록

클럽별 우승 횟수
순위클럽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1CURCC / 페냐롤 [5][6][7]52421900, 1901, 1905, 1907, 1911, 1918, 1921, 1928, 1929, 1932, 1935, 1936, 1937, 1938, 1944, 1945, 1949, 1951, 1953, 1954, 1958, 1959, 1960, 1961, 1962, 1964, 1965, 1967, 1968, 1973, 1974, 1975, 1978, 1979, 1981, 1982, 1985, 1986, 1993, 1994, 1995, 1996, 1997, 1999, 2003, 2009-10, 2012-13, 2015-16, 2017, 2018, 2021, 20241902, 1903, 1906, 1909, 1910, 1912, 1914, 1915, 1916, 1917, 1920, 1927, 1933, 1934, 1939, 1941, 1942, 1943, 1946, 1950, 1952, 1955, 1956, 1957, 1963, 1966, 1969, 1970, 1971, 1972, 1976, 1977, 1984, 1988, 1998, 2000, 2006-07, 2007-08, 2011-12, 2014-15, 2019, 2023
2나시오날49461902, 1903, 1912, 1915, 1916, 1917, 1919, 1920, 1922, 1923, 1924, 1933, 1934, 1939, 1940, 1941, 1942, 1943, 1946, 1947, 1950, 1952, 1955, 1956, 1957, 1963, 1966, 1969, 1970, 1971, 1972, 1977, 1980, 1983, 1992, 1998, 2000, 2001, 2002, 2005, 2005-06, 2008-09, 2010-11, 2011-12, 2014-15, 2016, 2019, 2020, 20221901, 1905, 1913, 1918, 1921, 1929, 1931, 1935, 1936, 1937, 1938, 1944, 1945, 1949, 1951, 1953, 1954, 1958, 1959, 1961, 1962, 1965, 1967, 1968, 1973, 1974, 1975, 1978, 1979, 1981, 1982, 1986, 1987, 1989, 1990, 1991, 1995, 1996, 1999, 2003, 2004, 2009-10, 2015-16, 2018, 2021, 2024
3데펜소르 스포르팅491976, 1987, 1991, 2007-081993, 1994, 1997, 2005, 2008-09, 2010-11, 2012-13, 2017
3다누비오431988, 2004, 2006-07, 2013-141983, 2001, 2002
3리버 플레이트 FC41908, 1910, 1913, 1914
6몬테비데오 완더러스381906, 1909, 19311907, 1908, 1911, 1922, 1980, 1985, 2013-14, 2016
7람플라 후니어스1519271923, 1928, 1932, 1940, 1964
7벨라 비스타1119901924
7리버풀1120232022
7센트랄 에스파뇰11984
7프로그레소11989
알비온11900
유니버설11919
세로11960
CA 리버 플레이트11992
로차12005-06
렌티스타스12020


5. 2. 클럽별 우승 횟수 (아마추어/프로 분리)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우승 기록은 크게 리그 초창기인 아마추어 시대(1900년~1931년)와 1932년 프로 리그 전환 이후 시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시대별 클럽 우승 횟수는 아래 하위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페냐롤 (CURCC 시절 포함)과 나시오날 두 클럽이 압도적인 우승 횟수를 기록하며 리그를 양분해왔다.

5. 2. 1. 아마추어 시대

아마추어 시대(1900년 ~ 1931년)의 우승팀은 다음과 같다.

연도우승 팀
1900CURCC[46]
1901CURCC
1902나시오날
1903나시오날
1904대회 무산[47]
1905CURCC
1906몬테비데오 원더러스
1907CURCC
1908리버 플레이트 F.C.[48]
1909몬테비데오 원더러스
1910리버 플레이트 F.C.
1911CURCC
1912나시오날
1913리버 플레이트 F.C.
1914리버 플레이트 F.C.
1915나시오날
1916나시오날
1917나시오날
1918페냐롤
1919나시오날
1920나시오날
1921페냐롤
1922나시오날
1923나시오날
1924나시오날
1925끝내지 못함.[49]
1926대회 무산.[50]
1927람플라 주니오르스
1928페냐롤
1929페냐롤
1930대회 무산.[51]
1931몬테비데오 원더러스



아마추어 시대 클럽별 우승 횟수는 다음과 같다.



아마추어 시대(1900-1931) 클럽별 통산 성적은 다음과 같다. 승점은 (승리수×3 + 무승부수)로 계산되었다.

순위클럽명홈 타운창설 연도재적 연수첫 출전 연도경기 수승리 수무승부 수패배 수득점 수실점 수득실차승점우승 횟수
1나시오날몬테비데오189927190148132990621043312731107711
2페냐롤[36]몬테비데오189126190044729782689042876179739
3원더러스몬테비데오1902251903463229911436594342257783
4센트랄 에스파뇰[35]몬테비데오190517190933210285145342418-76391-
5리베르 플라테 FC[32]몬테비데오18971419072331025774314261533634
6우니베르살 FC몬테비데오19071419122789867113327344-17361-
7람플라 주니어스몬테비데오19147192218210241392781641143471
8베야 비스타몬테비데오19206192316068434920517233247-
9두블린 FC몬테비데오불명1319082406645129234380-146243-
10데펜소르몬테비데오1913719151686247592071998233-
11리버풀몬테비데오191581920204585789188222-34231-
12CA 리토몬테비데오191761921156504759177184-7197-
13우루과이 온와르도몬테비데오불명71920178474982164276-112190-
14벨그라노 FC몬테비데오불명71919166454477119215-96179-
15미시오네스 FC[37]몬테비데오190651918134472958151196-45170-
16수드 아메리카몬테비데오19144192711641383713210923161-
17레포르메르스 FC몬테비데오불명9191316037398497225-128150-
18올림피아 FC[38]몬테비데오192241927116383048149193-44144-
19CA 카푸로[39]몬테비데오191441927116372752141176-35138-
20라싱 클럽몬테비데오191941924112332851120167-47127-
21브리스톨 FC몬테비데오불명71908114302262131202-71112-
22세로몬테비데오19223192794282343103176-73107-
23찰레이 FC몬테비데오불명81917164243110987308-221103-
24도이처 FK[40]몬테비데오189791900101281360114236-12297-
25콜론몬테비데오1907319097622163893124-3182-
26피닉스몬테비데오191621923441515144341260-
27알비온 FC몬테비데오189161900621683894131-3756-
28솔페리노 SC몬테비데오불명11927381010184360-1740-
29CA 로사리노 센트랄몬테비데오불명119273888222750-2332-
30프렌치 FC몬테비데오불명3190854944153152-9931-
31우루과이 아틀레틱몬테비데오1898419003692252691-6529-
32리베르타몬테비데오불명219103067172956-2725-
33트리운포 FC몬테비데오불명219022143141764-4715-
34CA 인데펜덴시아몬테비데오불명219143224261760-4310-
35인트레피도 FC몬테비데오불명3190638303511110-999-
36오리엔탈 FC몬테비데오1908119092012171846-285-
37나시오날 B[41]몬테비데오189911906100010210-80-


5. 2. 2. 프로 리그

1932년 리그가 프로화된 이후,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주로 페냐롤과 나시오날 두 클럽이 우승을 양분하는 양상을 보여왔다. 2010-11 시즌 종료 기준으로, 페냐롤이 3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나시오날이 32회 우승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이 두 팀 외에는 데펜소르 스포르팅이 4회, 다누비오 FC가 3회 우승했으며, CA 베야 비스타, 센트랄 에스파뇰, CA 프로그레소가 각각 1회씩 우승을 경험했다. 1948년 시즌은 선수 파업으로 인해 대회가 중단되어 우승팀이 없다.[52]

아래는 1932년부터 2010-11 시즌까지 프로 리그 시대의 역대 우승팀 목록이다.

연도우승 팀
1932페냐롤
1933나시오날
1934나시오날
1935페냐롤
1936페냐롤
1937페냐롤
1938페냐롤
1939나시오날
1940나시오날
1941나시오날
1942나시오날
1943나시오날
1944페냐롤
1945페냐롤
1946나시오날
1947나시오날
1948대회 무산[52]
1949페냐롤
1950나시오날
1951페냐롤
1952나시오날
1953페냐롤
1954페냐롤
1955나시오날
1956나시오날
1957나시오날
1958페냐롤
1959페냐롤
1960페냐롤
1961페냐롤
1962페냐롤
1963나시오날
1964페냐롤
1965페냐롤
1966나시오날
1967페냐롤
1968페냐롤
1969나시오날
1970나시오날
1971나시오날
1972나시오날
1973페냐롤
1974페냐롤
1975페냐롤
1976데펜소르 스포르팅
1977나시오날
1978페냐롤
1979페냐롤
1980나시오날
1981페냐롤
1982페냐롤
1983나시오날
1984센트랄 에스파뇰
1985페냐롤
1986페냐롤
1987데펜소르 스포르팅
1988다누비오 FC
1989CA 프로그레소
1990CA 베야 비스타
1991데펜소르 스포르팅
1992나시오날
1993페냐롤
1994페냐롤
1995페냐롤
1996페냐롤
1997페냐롤
1998나시오날
1999페냐롤
2000나시오날
2001나시오날
2002나시오날
2003페냐롤
2004다누비오 FC
2005나시오날[53]
2005-06나시오날
2006-07다누비오 FC
2007-08데펜소르 스포르팅
2008-09나시오날
2009-10페냐롤
2010-11나시오날


5. 3. 연도별 우승팀 (1900-현재)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00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하여 1932년부터 프로 리그로 전환되었다. 리그 역사 대부분 기간 동안 페냐롤(CURCC 기록 포함 논란1900년부터 1911년까지의 우승 기록은 CURCC가 달성한 것이다. FIFA[5]CONMEBOL[6]은 페냐롤을 CURCC의 후계 구단으로 인정하며, 페냐롤 구단 역시 CURCC의 우승 기록을 자신들의 역사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역사학자들은 CURCC가 1913년 해체될 때까지 축구 활동을 계속했기 때문에 페냐롤과는 별개의 구단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과 나시오날 두 클럽이 압도적인 우승 횟수를 기록하며 양강 체제를 구축해왔다. 1930년부터 1975년까지는 이 두 팀만이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76년 데펜소르 스포르팅이 우승하며 양강 체제를 처음으로 깼으며, 이후 다누비오 FC, 센트랄 에스파뇰, CA 프로그레소, CA 베야 비스타, 리버풀 등이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하지만 여전히 페냐롤과 나시오날 외의 클럽이 연속으로 우승한 사례는 없다. 최다 연속 우승 기록은 페냐롤(1958년~1962년, 1993년~1997년)과 나시오날(1939년~1943년)이 각각 기록한 5회 연속 우승이다. 페냐롤과 나시오날이 모두 우승하지 못한 가장 긴 기간은 1987년부터 1991년까지 5시즌 동안으로, 이 기간에는 데펜소르 스포르팅(2회), 다누비오, 프로그레소, 베야 비스타가 각각 우승을 차지했다.

리그는 역사적으로 몇 차례 중단되거나 개최되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1904년에는 내전으로 인해 리그가 열리지 못했고, 1925년과 1926년에는 우루과이 축구 협회의 분열과 통합 과정에서의 혼란으로 인해 시즌이 중단되거나 정상적으로 개최되지 못했다.[15][16] 1930년에는 1930년 FIFA 월드컵 개최로 인해 리그가 열리지 않았으며, 1948년에는 선수들의 파업으로 시즌이 중단되었다.[21][52]

아래는 역대 우승팀들의 기록이다.

클럽별 우승 횟수 (2024 시즌 종료 기준)[8]
순위클럽우승준우승
1CURCC / 페냐롤5242
2나시오날4946
3데펜소르 스포르팅49
다누비오 FC43
리버 플레이트 FC4
6몬테비데오 원더러스 FC38
7람플라 후니어스15
CA 베야 비스타11
리버풀11
센트랄 에스파뇰1
CA 프로그레소1
알비온1
유니버설1
CA 세로1
CA 리버 플레이트1
로차 FC1
CA 렌티스타스1

5. 4. 아페르투라/클라우수라 시즌

1994년부터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전기 리그인 '토르네오 아페르투라'(Torneo Apertura)와 후기 리그인 '토르네오 클라우수라'(Torneo Clausura)의 두 단계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시즌 마지막에는 각 토너먼트 우승팀이 2차전 결승전을 치러 최종 우승팀을 가렸다.

원래 리그는 다른 남아메리카 축구 리그처럼 남반구의 오스트랄 여름에 맞춰 달력 연도 기준으로 운영되었다. 하지만 2005년, 시즌 중 선수 유출을 막기 위해 북반구의 보레알 여름에 맞춰 8월에 시작하는 소위 "유럽식 시즌"을 도입했다. 이 변화에 따라 2005년 전반기에는 국제 대회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한 특별 단축 시즌이 열리기도 했다. 2005-06 시즌에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우승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여기서 승리한 팀이 정규 리그 종합 성적 1위 팀과 최종 챔피언 결정전을 치르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유럽식 시즌 운영 방식은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사이의 선수 이적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고, 2008-09 시즌을 마지막으로 다시 달력 연도 기준으로 돌아갈 예정이었다. 하지만 실제 전환은 몇 년 더 미뤄졌다. 결국 2015-16 시즌까지 유럽식으로 진행된 후, 2016년 하반기에 짧은 과도기 시즌을 거쳐 2017 시즌부터 다시 달력 연도에 따른 시즌 운영 방식으로 복귀했다.

5. 5. 토르네오 인터메디오

wikitext

연도우승팀점수준우승팀
2017나시오날1–0데펜소르 스포르팅
2018나시오날3–2토르케
2019리버풀2–2 (승부차기 5–4)리버 플레이트
2020나시오날0–0 (승부차기 4–1)몬테비데오 원더러스
2021(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일정 제약으로 개최되지 않음)
2022나시오날1–0리버풀
2023리버풀1–0데펜소르 스포르팅
2024나시오날1–1 (승부차기 8–7)페냐롤


5. 6. 토르네오 클라시피카토리오

시즌우승팀준우승팀
2001페냐롤다누비오
2002페냐롤나시오날
2004다누비오세리토


5. 7. 리기야 프레-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

시즌우승팀준우승팀수상
1974페냐롤몬테비데오 원더러스197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75페냐롤나시오날197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76데펜소르 스포르팅페냐롤197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77페냐롤다누비오197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78페냐롤나시오날197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79데펜소르 스포르팅나시오날198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80페냐롤베야 비스타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81데펜소르 스포르팅페냐롤198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82나시오날몬테비데오 원더러스1983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83다누비오나시오날198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84페냐롤베야 비스타198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85페냐롤몬테비데오 원더러스198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86페냐롤프로그레소198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87몬테비데오 원더러스나시오날198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88페냐롤다누비오198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89데펜소르 스포르팅프로그레소199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90나시오날베야 비스타199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91데펜소르 스포르팅나시오날199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92나시오날베야 비스타1993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93나시오날데펜소르 스포르팅199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94페냐롤세로199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95데펜소르 스포르팅페냐롤199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96나시오날페냐롤199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97페냐롤나시오날199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98베야 비스타나시오날199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1999나시오날베야 비스타200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2000데펜소르 스포르팅페냐롤200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2001몬테비데오 원더러스데펜소르 스포르팅200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2002페닉스데펜소르 스포르팅2003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2003페닉스다누비오200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2004페냐롤데펜소르 스포르팅200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2005(개최되지 않음)
2005–06데펜소르 스포르팅다누비오200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2006–07나시오날몬테비데오 원더러스200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2007–08나시오날데펜소르 스포르팅200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2008–09세로레이싱201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5. 8. 클럽별 Half-year / Short tournaments

(1994–)토르네오 클라우수라
(1994–)토르네오 인터메디오
(2017–)리기야 프리-리베르타도레스
(1974–2009)토르네오 클라시피카토리오
(2001–2004)나시오날33128580페냐롤317100122데펜소르 스포르팅1644080다누비오833011리버풀512200몬테비데오 원더러스301020플라자 콜로니아211000렌티스타스110000로차110000벨라 비스타100010세로100010페닉스100010

6. 득점왕

자세한 내용은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득점왕 목록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7. 국제 대회 주요 전적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연간 순위표 결과에 따라 국제 대회 출전권이 배분된다. 2017 시즌 이후 기준으로, 리그 상위 4개 클럽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권을 획득하며, 5위부터 8위까지의 4개 클럽은 코파 수다메리카나 출전권을 얻는다.

7. 1. FIFA/UEFA/CONMEBOL 주최 대회

7. 2. AFA/AUF 주최 대회


코파 알다오 우루과이 클럽별 성적
클럽우승 횟수준우승 횟수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나시오날5회 (비공식 1회 포함 시 6회)5회1916, 1919, 1920, 1940, 1942 (비공식: 1946)1917, 1939, 1941, 1947, 1957
페냐롤1회5회19281918, 1936, 1937, 1938, 1945


참조

[1] 웹사이트 The strongest Leagues of the World of the 21st Century (2001-2011) https://web.archive.[...] IFFHS 2013-01-14
[2] 뉴스 Hasta ahora se jugaron 109 Uruguayos http://www.ovaciondi[...] Ovación Digital
[3] 웹사이트 Uruguay – List of Champions https://www.rsssf.or[...]
[4] 웹사이트 Discusiones por el decanato http://www.futbol.co[...] Fútbol.uy 2009-09-29
[5] 뉴스 ¡Felicita a Peñarol! http://es.fifa.com/l[...] FIFA.com 2011-09-27
[6] 간행물 Guía de clubes sudamericanos, p. 19 http://conmebol.com/[...] CONMEBOL
[7] 웹사이트 Discusiones por el decanato http://www.futbol.co[...] Fútbol.uy 2009-09-29
[8] 웹사이트 Uruguay - List of Champions https://www.rsssf.or[...] RSSSF 2024-03-17
[9] 문서 1900年、ヨーロッパ人が中心となって運営する4クラブ([[アルビオンFC]](1891年6月1日創設)、[[CAペニャロール|CURCC]](1891年9月28日創設)、ドイチャーFK(1897年5月23日創設)、ウルグアイ・アトレティック(1898年8月10日創設))によって[[ウルグアイサッカー協会]]リーグが創設された。
[10] 문서 1901シーズン、[[クルブ・ナシオナル・デ・フットボール|ナシオナル]](1899年5月14日創設)がウルグアイ人のためのサッカークラブとして初めてリーグに参加。
[11] 문서 1914シーズン、1913年12月13日にCURCCの歴史を継承して創設された[[CAペニャロール|ペニャロール]]がリーグ初参加。
[12] 문서 1922シーズン途中に[[CAペニャロール|ペニャロール]]と[[セントラル・エスパニョールFC|セントラル]](現在のセントラル・エスパニョール)が[[ウルグアイサッカー協会]](AUF)を脱退。[[ウルグアイサッカー連盟]](FUF)を設立して翌1923シーズンから独自の国内リーグを開催した。
[13] 문서 1923シーズンは、[[ウルグアイサッカー連盟]](FUF)主催の国内リーグも並行して開催され[[モンテビデオ・ワンダラーズFC|アトレティコ・ワンダラーズ]]が優勝したが、[[ウルグアイサッカー協会]](AUF)はこの大会を公式記録として認めていない。
[14] 문서 1924シーズンは、[[ウルグアイサッカー連盟]](FUF)主催の国内リーグも並行して開催され[[CAペニャロール|ペニャロール]]が優勝したが、[[ウルグアイサッカー協会]](AUF)はこの大会を公式記録として認めていない。
[15] 문서 1925シーズンは、[[ウルグアイサッカー連盟]](FUF)主催の国内リーグも並行して開催されたが、リーグ再統一を目指すための国内の混乱によりシーズン途中で打ち切りとなった。
[16] 문서 1926シーズンは、[[ウルグアイサッカー連盟|コンセホ・プロビソリオ]](暫定理事会)主催の国内リーグが開催され[[CAペニャロール|ペニャロール]]が優勝したが、[[ウルグアイサッカー協会]](AUF)はこの大会を公式記録として認めていない。
[17] 문서 リーグ再統合を経て、1927シーズンから従来の[[ウルグアイサッカー協会]](AUF)主催の国内リーグが再開された。
[18] 문서 1931シーズンは、アマチュアリーグとして開催された最後のシーズン。
[19] 문서 1932シーズンは、プロリーグとして開催された最初のシーズン。
[20] 문서 1947シーズンは、[[CAペニャロール|ペニャロール]]、[[ランプラ・ジュニオルスFC|ランプラ・ジュニオルス]]、[[デフェンソール・スポルティング|デフェンソール]]によって行われていた2位決定プレーオフが途中で打ち切りになったため、2位-4位は未確定。
[21] 문서 1948シーズンは、[[クルブ・ナシオナル・デ・フットボール|ナシオナル]]、[[CAペニャロール|ペニャロール]]、[[CAリーベル・プレート (ウルグアイ)|CAリーベル・プレート]]、[[ランプラ・ジュニオルスFC|ランプラ・ジュニオルス]]、[[リベルプールFC|リベルプール]]、[[デフェンソール・スポルティング|デフェンソール]]、[[セントラル・エスパニョールFC|セントラル]]、[[モンテビデオ・ワンダラーズFC|ワンダラーズ]]、[[ダヌービオFC|ダヌービオ]]、[[CAセロ|セロ]]の10クラブでリーグ開催され第10節まで進行していたが、ストライキで打ち切りとなった。
[22] 문서 1989シーズンは、日程の都合上1回総当たりの短期リーグであった。
[23] 문서 1994シーズンは、初めて前期後期制([[アペルトゥーラとクラウスーラ|アペルトゥーラ・クラウスーラ]])が導入された。
[24] 문서 2000前期シーズン終了後、[[CSDビジャ・エスパニョーラ|ビジャ・エスパニョーラ]]がスタジアム使用の問題から[[セグンダ・ディビシオン・プロフェシオナル|セグンダ・ディビシオン]]に降格となり、後期シーズンは17クラブによって争われた。
[25] 문서 2005シーズンは、暦年方式から越年方式への移行のための特別シーズンで、1回総当たりの短期リーグであった。
[26] 문서 2005-06前期シーズンは18クラブが出場した。前期シーズン終了後に[[パイサンドゥーFC|パイサンドゥー]]、[[CAフェニックス|フェニックス]]、[[クルブ・プラサ・デ・デポルテス・コロニア|プラサ・コロニア]]が降格となり、代わって[[CAベジャ・ビスタ|ベジャ・ビスタ]]と[[セントラル・エスパニョールFC|セントラル・エスパニョー]]ルが昇格したため、後期シーズンは17クラブによって争われた。
[27] 문서 2008-09前期シーズン終了後、[[CSDビジャ・エスパニョーラ|ビジャ・エスパニョーラ]]が財政上の理由からアマチュアリーグに降格となり、後期シーズンは15クラブによって争われた。
[28] 문서 2016シーズンは、越年方式から暦年方式への移行のための特別シーズンで、1回総当たりの短期リーグであった。
[29] 문서 2018シーズンは、当初は16クラブが参加する予定であったが、[[CCDエル・タンケ・シスレイ|エル・タンケ・シスレイ]]が財政上の理由で不参加となった。他の参加した15クラブは不戦勝となり、前期シーズン・後期シーズンともに勝ち点3が加算された。
[30] 문서 前身のCURCC時代の優勝5回を含む。但し、[[CAペニャロール|ペニャロール]]への移行後もCURCCは1915年まで存続していたことから、両クラブの歴史的連続性については見解が分かれている。
[31] 문서 [[CAペニャロール|ペニャロール]]は、1924シーズンの[[ウルグアイサッカー連盟]](FUF)主催の国内リーグと、1926シーズンの[[ウルグアイサッカー連盟|コンセホ・プロビソリオ]](暫定理事会)主催の国内リーグに参加してそれぞれ優勝したが、[[ウルグアイサッカー協会]](AUF)はこれらの大会を公式記録として認めていない。
[32] 문서 [[リーベル・プレートFC]]は、かつて[[モンテビデオ]]に存在したクラブで1925年に解散した。現在活動している[[CAリーベル・プレート (ウルグアイ)|CAリーベル・プレート]]とは別のクラブ。
[33] 문서 前身のCAデフェンソール時代の優勝2回を含む。1989年にCAデフェンソールとスポルティングCUが合併して[[デフェンソール・スポルティング]]となった。
[34] 문서 [[モンテビデオ・ワンダラーズFC|ワンダラーズ]]は、1923シーズンの[[ウルグアイサッカー連盟]](FUF)主催の国内リーグにアトレティコ・ワンダラーズとして参加して優勝したが、[[ウルグアイサッカー協会]](AUF)はこの大会を公式記録として認めていない。
[35] 문서 [[セントラル・エスパニョールFC|セントラル・エスパニョール]]は、1971年にセントラルから改称した。
[36] 문서 前身のCURCC時代の成績(1900シーズン-1913シーズン)を含む。但し、CAペニャロール|ペニャロールへの移行後もCURCCは1915年まで存続していたことから、両クラブの歴史的連続性については見解が分かれている。
[37] 문서 ミシオネスFCは、1980年にCSミラマールと合併してCSミラマール・ミシオネス|ミラマール・ミシオネスが創設された。
[38] 문서 オリンピアFCは、1932年にCAカプーロと合併してCAリーベル・プレート (ウルグアイ)|CAリーベル・プレートが創設された。
[39] 문서 CAカプーロは、1932年にオリンピアFCと合併してCAリーベル・プレート (ウルグアイ)|CAリーベル・プレートが創設された。
[40] 문서 ドイチャーFKは、1905シーズン-1906シーズンはSCテウトニア、1907シーズン-1909シーズンはCAモンテビデオと改称し、1909シーズン限りで解散した。
[41] 문서 クルブ・ナシオナル・デ・フットボール|ナシオナルは、1906シーズンに、レギュラーメンバーから成る公式チームに加え、控え選手から成るBチームを出場させた。Bチームは最初の3試合を終えたところで大会を棄権した。
[42] 문서 1932年、CAカプーロとオリンピアFCが合併してCAリーベル・プレート (ウルグアイ)|CAリーベル・プレートが創設された。
[43] 문서 1980年、CSミラマールとミシオネスFCが合併してCSミラマール・ミシオネス|ミラマール・ミシオネスが創設された。
[44] 문서 アトレティコ・ベジャ・ビスタは、2005年にパイサンドゥー・ベジャ・ビスタから改称した。
[45] 문서 페냐롤의 전신인 ''센트랄 우루과이 레일웨이 크리켓 클루브''(CURCC)가 1900년대 초반에 따낸 5개의 타이틀을 페냐롤의 우승 기록으로 봐야하는가에 대해 오랫동안 현지에서 논란이 있다. CURCC는 크리켓팀으로서 축구 리그에도 참가한 이유로 많은 우루과이 국민들은 나시오날의 49회 우승을 우루과이 리그 최다 우승으로 여기고 있다.
[46] 문서 CURCC를 페냐롤과 같은 클럽으로 봐야 하는지에 대해선 논란이 있다. 같은 클럽으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이지만, CURCC와 페냐롤이 서로 축구 경기를 한 기록도 있기 때문이다.
[47] 문서 1904년 내전(반란)으로 대회 무산. 1904
[48] 문서 리버 플레이트 F.C.는 아마추어 시절 이후 소멸되었다. 현재의 리버 플레이트 몬테비데오는 1930년대에 설립된 다른 클럽이다. 1930
[49] 문서 1925년 리그는 #역사 및 리그 진행 방식|앞에서 말한 이유로 끝마치지 못했다. 2003년과 2004년 FUF 우승 팀은 몬테비데오 원더러스와 페냐롤이지만, 인정을 받지 못하고, 나시오날의 우승이 공식기록으로 되어 있다. 1925
[50] 문서 1926년 캄페오나토 콘세호 프로비소리오(Campeonato Consejo Provisorio)가 열려 페냐롤이 우승했지만, 우루과이 축구 협회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1926
[51] 문서 1930년 FIFA 월드컵|제 1회 FIFA 월드컵 개최로 인해 대회 취소. 1930
[52] 문서 1948년 대회는 선수들의 파업으로 무산되었다. 1948
[53] 문서 유럽형 연년제 리그로 바꾸기 위해, 2005년 전반기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06 진출팀을 가리기 위한 특별 리그(Torneo Uruguay Especial)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